62 | 이주연구의 역사적 여정(旅程) -학제간 융합학문으로-|황혜성|2024 | migration  | 2025-03-10 | 12 |
61 | 일제강점기 재조일본인 경성여자기예학교의 운영과 학생|조규태|2024 | migration  | 2025-03-10 | 5 |
60 | 이주문학으로서의 "파친코" 연구|신영헌|2024 | migration  | 2025-03-10 | 7 |
59 | 이주와 문화 융합: 독일의 되너 케밥|윤용선|2024 | migration  | 2025-03-10 | 6 |
58 | 이주 목적국의 매력지표와 순이주율 간의 필요조건 분석|최강화|2024 | migration  | 2025-03-10 | 4 |
57 | 문화적 차이로 인한 갈등 해결 방법으로서의 소셜 미디어 활용 사례 –대구 이슬람사원 갈등을 중심으로-|홍상현|2024 | migration  | 2025-03-10 | 5 |
56 | 중국 선양(沈阳) 시타(西塔) 코리아타운의 초국가 공동체에 관한 연구|김혜련|2024 | migration  | 2025-03-10 | 4 |
55 | 폴 길로이(Paul Giloy)의 포스트식민 멜랑콜리 연구 -‘작은 차이의 나르시시즘’과 ‘상생성’ 논의를 중심으로-|양재혁|2024 | migration  | 2025-03-10 | 3 |
54 | 냉전시대 글로벌 미국가정 만들기-1950년대 한국 아동의 미국 입양-|권은혜|2024 | migration  | 2025-03-10 | 3 |
53 | 역사적 연구대상으로서의 한국인 입양인 공동체 -한국과 미국을 가로지르는 입양인 디지털 공동체의 출현-|권은혜|2024 | migration  | 2025-03-10 | 4 |
52 | 에스닉 경제와 디지털 기술의 활용 -한국 이주민 사례-│김지윤│2024 | migration  | 2025-03-10 | 3 |
51 | 탈북 청년의 미래 전망과 실천-통일 관련 활동 사례연구-│손명아│2024 | migration  | 2025-03-07 | 9 |
50 | 이주자의 문화적 실천과 아티비즘의 가능성│김지윤│2024 | migration  | 2025-03-07 | 11 |
49 | Mourning for Itaewon Halloween tragedy│김지윤│2023 | migration  | 2023-07-28 | 362 |
48 | 예술적 표현으로서의 비(非)서사적, 사적(私的), 시적(詩的) 다큐멘터리 사진 -『 ROUTE 44』의 사진적 방법론 | migration  | 2023-07-28 | 342 |
47 | 모빌리티 턴과 이주의 윤리학│김지윤│2023 | migration  | 2023-07-28 | 376 |
46 | 하와이 이주민 안원규의 사회․경제적 삶과 민족적 활동(1903-1947)│조규태,│2023 | migration  | 2023-07-28 | 370 |
45 | 미셸 슈발리에(Michel Chevalier)의 공동체적 상상력 :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지중해 시스템'|양재혁|2023 | migration  | 2023-07-03 | 339 |
44 | 앙리 생시몽(Henri Saint-Simon)의 공동체적 상상력 - 산업 시스템의 유럽 공동체 -|양재혁|2023 | migration  | 2023-07-03 | 38 |
43 | 제2차 세계대전 미국정부의 일본계 미국인 재정착 정책에서 드러나는 조건부 이동성(mobility)과 그 한계|권은혜|2022 | migration  | 2023-07-03 |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