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에스닉 경제와 디지털 기술의 활용 -한국 이주민 사례-│김지윤│20242025-03-10 17:23
작성자 Level 10

에스닉 경제와 디지털 기술의 활용 -한국 이주민 사례-


 저자

 김지윤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

 학술지명

 디아스포라연구

 권호사항

 Vol.18 No.1 [2024]

 발행연도

 2024

 원문보기

 제공처: KCI


본 연구는 에스니시티(ethnicity)라는 타자성이 교환되는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장이자 노동력, 문화, 정보, 자본과 임금이 교환되는 장으로서 유무형의 시장인 에스닉 경제(ethnic economy)에 디지털 기술이 활용되었을 때 에스닉 경제의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주 연구에서는 그 동안 주류 사회의 관점에서 에스닉 비즈니스의 특성이나 에스닉 기업가의 창업 정신에 주목하였던 반면 창업자를 포함하여 이들에 의해 고용되어 에스닉 경제에 주요하게 참여하는 이주자의 노동 기회 탐색과 노동 경험에 대해서는 크게 주목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특히 디지털 기술의 활용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지만 디지털 기술이 에스닉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국내에서 드물다. 유럽에서는 2010년대 이후 급증한 이주민과 난민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코딩, 디지털 창업을 위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이주자와 난민의 디지털 기술 활용은 계층적으로 크게 분화되어 수용 사회에서 하위 계층에 속하게 된 다수의 이주자와 난민은 플랫폼 기업의 최하위 노동자로서 고강도의 노동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대다수 이주자가 디지털 플랫폼 기업의 고용시장에 진입하는 것이 제한되어 있어 이러한 현상은 아직 발생하지 않고 있다. 다만 기존 노동 시장에 대한 진입과 창업에 있어서 인터넷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의 사용은 이주자들의 정보 탐색과 창업 기회 탐색에 있어서 이주자들에게 더 많은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의 활용 자체가 한국 내 에스닉 경제의 구조적 변화를 일으킬 만큼의 결정력을 가지기 보다는 디지털 기술에 접속하는 개개인의 언어 능력, 기술의 활용능력 등에 따른 다양한 사회적 배치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