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 미국의 인도차이나 난민 정책과 베트남인의 미국 시민 되기 - 공산정권을 탈출한 난민에서 반공주의 모범 소수자 미국인으로|권은혜|2023 | migration  | 2023-07-03 | 47 |
41 | 호찌민시 차이나타운과 베트남 화인(华人)의 현지 정착|김혜련|2023 | migration  | 2023-07-03 | 21 |
40 | 이질적인 문화의 충돌과 공존―영화<컬러풀 웨딩즈>와 <나의 그리스식 웨딩> 연구|신영헌|2022 | migration  | 2023-06-30 | 42 |
39 | 이주민의 순이동률 변동에 대한 국가취약지수의 영향 분석|최강화|2023 | migration  | 2023-06-30 | 64 |
38 | 21세기 독일 박물관의 이주전시|윤용선|2023 | migration  | 2023-06-30 | 21 |
37 | 신흥 이민 유입국 중국의 이민정책에 대한 고찰 - 중국 유입 외국인을 중심으로|김혜련|2022 | migration  | 2022-08-11 | 55 |
36 | 이주의 시대 지식과 문화에 관한 에세이: 사이드(Said)의 비코(Vico) 읽기|양재혁|2022 | migration  | 2022-08-11 | 71 |
35 | 이스마일 위르뱅의 프랑스-이슬람 알제리 기획 –지리, 이동, 상상-|양재혁|2022 | migration  | 2022-08-11 | 41 |
34 | 타자들의 공동체: 타자들로 구성된 공동체의 가능성|김지윤|2022 | migration  | 2022-08-11 | 90 |
33 | 상상의 케이패션(K-Fashion)과 문화적 상호참조: 동대문 패션시장을 둘러싼 초국적 이동|김지윤|2022 | migration  | 2022-08-11 | 74 |
32 | 냉전기 미국에서 아프리카-아시아 연대와 정치적 상상력: 중국계 미국인 여성 그레이스 리 보그스의 급진적 흑인정치 활동|권은혜|2022 | migration  | 2022-08-11 | 44 |
31 | 「희생자의 정의를 추구하는 사회운동 –1865년부터 현재까지 아프리카계 미국인 주도 노예제와 짐크로 보상운동 |권은혜|2022 | migration  | 2022-08-11 | 60 |
30 | 영상콘텐츠 제작 체험을 활용한 이주-다문화 관련 교양 수업 운영사례 - <문화다양성 공간 탐방과 디지털 노마드>의 수업 설계와 학습자의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홍.. | migration  | 2022-08-11 | 46 |
29 | 코로나 발생 전후 시기의 언어 네트워크를 활용한 제노포비아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최강화|2022 | migration  | 2022-08-11 | 34 |
28 | 손병희의 근대화 운동과 자유 민주주의 사상의 확산|조규태|2022 | migration  | 2022-08-11 | 52 |
27 | 하와이 이주 한인 정원명의 민족적 활동과 면모 (1904~1942)|조규태|2022 | migration  | 2022-08-11 | 61 |
26 | 18~19세기 독일인의 미국 이주에 관한 소고|윤용선|2022 | migration  | 2022-08-11 | 34 |
25 | 다문화소설로서의 『이슬람 정육점』 연구|신영헌|2022 | migration  | 2022-08-11 | 34 |
24 | 엔젤섬이민국의 가려진 이야기: ‘깨어진 꿈’|황혜성|2022 | migration  | 2022-08-11 | 41 |
23 | 미국의 “질병 토착주의(Medicalized Nativism)”와 제노포비아 : 고전 『조용한 침입자들(Silent Travellers): 세균, 유전자, 그리고.. | migration  | 2022-08-11 | 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