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 전시 상태 미국에서 법치와 민주주의의 후퇴: 연방대법원의 1944년 고레마츠 대 미국 판결과 2018년 트럼프 대 하와이 판결을 중심으로|권은혜|2021 | migration  | 2022-08-11 | 36 |
21 | 위그노 난민과 계몽주의의 전파: 17-18세기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을 중심으로|윤용선|2021 | migration  | 2022-08-11 | 38 |
20 | 도쿄 화교·화인의 현지 정착 실태에 관한 연구|김혜련|2021 | migration  | 2022-08-11 | 36 |
19 | 노라 켈러의 『종군위안부』 연구: 교호적 서술과 자유직접화법을 통한 혼종적 정체성의 전유 | 신영헌 | 2021 | migration  | 2021-07-12 | 64 |
18 | 일제강점기 돈암리 이주민 히라야마 마사쥬(平山政十)와 平山牧場 | 조규태 | 2021 | migration  | 2021-07-12 | 118 |
17 |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코로나 발생 전후 시기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변화 | 최강화 | 2021 | migration  | 2021-07-12 | 67 |
16 | ‘이주-다문화 한국’ 시대에 다시 열어본, 주명덕의 『섞여진 이름들』 | 홍상현 | 2021 | migration  | 2021-07-12 | 71 |
15 | 중국의 외국인 영주제도 “그린카드”에 대한 연구 | 김혜련 | 2020 | migration  | 2021-07-12 | 85 |
14 | 미국의 “질병 토착주의(Medicalized Nativism)”와 제노포비아: 고전 『조용한 침입자들(Silent Travelers): 세균, 유전자, 그리고 “.. | migration  | 2021-05-14 | 42 |
12 | 비판적 백인성 연구의 시작 -데이빗 로디거, 『백인성의 임금: 인종과 미국노동계급의 형성』- | 권은혜 | 2020 | migration  | 2021-05-14 | 47 |
11 | 다문화주의와 미국적 정체성 : 1990년대 미국 역사가들의 다문화주의 논쟁을 중심으로 | 권은혜 | 2020 | migration  | 2021-05-14 | 58 |
10 | 에보닉스(Ebonics) 논쟁, 미국의 인종 역사 속에서 다시보기 : 존 보(John Baugh)의 『에보닉스를 넘어서(Beyond Ebonics)』를 중심으로 .. | migration  | 2021-05-14 | 110 |
9 | 미국 1870년 민권법(Civil Rights Act of 1870)과 이민자들 - 19세기 중국인 쿨리(Coolie)를 중심으로 - | 오영인 | 2019 | migration  | 2021-05-14 | 58 |
8 | 17-18세기 프랑스 위그노의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이주: 종교적 박해와 기술의 이전 | 윤용선 | 2020 | migration  | 2021-05-14 | 35 |
7 | 미국 맨티카 한인사회의 형성과 민족정체성(1916∼1925) | 조규태 | 2020 | migration  | 2021-05-14 | 42 |
6 | 중국 해외 유학생의 모국 귀환과 귀국 영향요인 분석 | 김혜련 | 2020 | migration  | 2021-05-14 | 37 |
5 | 이주서사로서의 『완득이』에 그려진 성장의 의미 | 신영헌, 강지현 | 2020 | migration  | 2021-05-14 | 63 |
4 | 디지털 노마드 시대, 디지털-온라인 환경에서의 새로운 영상 커뮤니케이션 - 디지털 영상의 존재론적 위치 정립을 위한 네 가지 재고(再考) | 홍상현 | 2020 | migration  | 2021-05-14 | 40 |
3 | 글로벌 이주의 결정 요인에 대한 시스템 사고 | 최강화, 오병섭 | 2020 | migration  | 2021-05-14 | 46 |